신분증을 촬영한 사진 등을

전날 젤렌스키 대통령은 자국군이 러시아 서부쿠르스크지역에서 북한군 2명을 생포했다고 밝히며 이들의 모습과 군인 신분증을 촬영한 사진 등을.
국정원은 이날 우크라이나군이 지난 9일 러시아쿠르스크전장에서 북한군 2명을 생포한 사실을 확인했다며 북한군이 전투 중 ‘상당한 병력 손실’을.
국정원, 심문 지원 국정원 "러시아 파병 북한군 사망 300여명·부상 2천700여명"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11일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 서부쿠르스크지역에서 북한 군인 2명을 생포했다고 공개했다.
이와 관련해 우리 국정원도 우크라이나군이 지난 9일 러시아쿠르스크전장에서 북한군 2명을.
젤렌스키 대통령은 전날 자국군이 러시아 서부쿠르스크지역에서 북한군 2명을 생포했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정보국(SBU)에 따르면 이들은 각각 20세, 26세의 병사로 부상을 입고 현재 수도 키이우로 이송돼 심문을 받고 있다.
심문은 한국 국가정보원과 협력하는 한국인 통역의 지원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국정원은 13일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회의에서 "러시아 파병 북한군의 교전 참여 지역이쿠르스크전역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이같은 내용을 보고했다.
국정원은 북한군 대규모 사상자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무의미한 원거리 드론 조준 사격과 후방 화력 지원 없는 돌격 전술, 현대전에 대한 이해 부족, 러시아.
이성권 의원은 국정원이 "러시아 파병 북한군의 교전 참여 지역이쿠르스크전역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북한군 피해 규모가 사망 300여 명, 부상 2천700여 명으로 사상자 수가 3천여 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고 보고했다고 전했습니다.
국정원은 또 "최근 입수한 북한군 전투 영상을 분석한 결과.
국정원은 "러시아 파병 북한군의 교전 참여 지역이쿠르스크전역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북한군 피해 규모가 사망 300여명, 부상 2,700여명으로 사상자 수가 3,000여 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고 보고했다고 이 의원이 전했습니다.
국정원은 또 "최근 입수한 북한군 전투 영상을 분석한 결과 무의미한.
◆ 우크라, 생포 북한군 영상 공개…"훈련을 실전처럼 해본다고 했다" 전날 젤렌스키 대통령은 자국군이 러시아 서부쿠르스크지역에서 생포한 북한군.
우크라이나와 미국 등의 분석을 종합하면쿠르스크전선에 배치된 북한 병력은 1만1000여명으로 추정된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 가운데 사상자가 4000명.
이 의원에 따르면, 국정원은 "러시아 파병 북한군의 교전 참여 지역이쿠르스크전역으로 확대되고 있다"면서 "북한군 피해 규모가 사망 300여명, 부상 2700여명으로 사상자 수가 3000여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국정원은 대규모 사상자가 발생한 주요 원인으로 "최근 입수한 북한군 전투.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쿠르스크에 투입된 북한군을 상대로 한 심리전에 집중하고 있다.
북한군 전사자가 급증하고 포로까지 나온 상황에서 러시아군 대신.
북한군은 우크라이나가 일부 점령하고 있는 러시아쿠르스크를 탈환하는 전투 중에 은폐, 엄폐물이 없는 평지에서 이런 드론에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이 의원은 "러시아 파병 북한군의 교전 참여 지역이쿠르스크전역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북한군 피해 규모는 사망 300여명, 부상 2700여명으로 사상자 수가 3000여명을 넘어선 것으로 (국정원은) 추산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국정원은 최근 입수한 북한군 전투 영상을 분석한 결과, 무의미한 원거리 드론 조준.